오늘 아침에는 왠지 김현의 “증오와 폭력”을 읽고 싶었다. 당연히 집에 있겠거니 했으나 없는 걸 보면 고향집에 두고 온 모양이다. 아쉬운 대로 예전에 해둔 메모를 훑어보다 생각나는 것이 있어 이렇게 묶어 보았다.
186쪽
“(…)사정이야 어떠했든 노인은 이 모든 일이 불결하고, 따라서 언례도 갑자기 불결해졌다는 생각이 앞섰다. 아무리 꼼짝도 못하고 당한 처지라고 해도, 도대체 그럴 수가…… 옛날 같았으면 여자가 양잿물을 먹고 목숨을 스스로 끊었으리라.” 황노인의 사유 중에서 제일 핵심적인 곳은 사정이야 어찌 되었건이라는 곳이다. 사정이야 어떠했든 그녀는 불결하다;193쪽
만인 대 일인의 싸움이 있어서, 만인의 결속이 이뤄지는 과정은 느리고 다양하지만, 한번 이뤄지면, 그 결속의 강도는 높다. 그 결속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피해를 적게 보고 싶다; 피해를 나눠받고 싶다라는 마음의 움직임이다.—분석과 해석, 김현—
193쪽
데이비드 리잭은 강간당했다는 말을 믿지 않는 사람들의 심리를 이렇게 설명했다.“취약함은 우리를 마음 깊이 두렵게 한다. 자신의 몸이 다른 인간에 의해 강제로 꿰뚫린다는 것은 끔찍할 만큼 철저히 취약하고 무력한 느낌을 주는 경험이기에 대다수 사람은 생각만으로도 움츠러들고 만다. 그런 거부감을 극복하고 진정으로 그 경험에, 그리고 그 일일 겪은 사람에게 감정이입한다는 것은 깊은 공감 능력과 상당한 용기를 필요로 하는 일이다. 솔직히 그런 어려운 일을 기꺼이 감당하려는 사람은 거의 없다. (…) 허위 신고 문제가 뿌리를 내린 것은 바로 이런 식으로 최적화된 토양 때문이다. 같은 방 안에 있는 사람들이 모두 강간 피해자를 피하거나 한시바삐 치워버리고 싶다는 욕구를 느낄 때, 그 여성이 모든 것을 지어냈다는 억측을 받아들이는 것보다 더 쉬운 방법은 없다. (…)”
—강간은 강간이다, 조디 래피얼—